2025학년도 학교도서관진흥시행계획 - 대구교육청

2025 교육정책으로 본 독서활동의 방향 - 이제는 ‘맞춤형 독서’ 시대!
서론
맞춤형 독서 교육의 필요성
학생 개인의 학습 특성과 흥미를 반영한 맞춤형 독서활동은 현대 교육에서 중요한 전략으로 자리 잡고 있다. 2025학년도 학교도서관진흥시행계획에서도 이러한 개인화된 독서 프로그램의 중요성이 강조되었으며, 이는 학생의 자기주도학습 역량 및 비판적 사고 능력 향상에 기여한다(교육부, 2024). 본 보고서에서는 맞춤형 독서활동 프로그램이 실제로 어떤 효과를 보이고 있으며, 현장에서의 사례, 문제점과 이에 대한 개선 방안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론
주요 프로그램 사례
2025년 대구시교육청의 계획에 따르면, ‘수업 품은 책읽기 활동(수품책)’, ‘한 학기 한 권 읽기’, ‘책쓰기 프로젝트’, ‘학생도서추천위원회’ 운영 등이 대표적인 학생 맞춤형 독서 프로그램이다. 이들은 교과 수업과 연계되어 독서-토론-글쓰기 활동을 유도하며, 학생 개별 수준에 맞춘 도서 선택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대구시교육청, 2025).
긍정적 효과와 현실적 한계
이러한 프로그램은 다양한 긍정적 효과를 가져왔다. 첫째, 자기 선택 독서를 통해 독서 흥미가 증가하였다. 둘째, 교과와 연계된 독서활동은 학습 내용을 심화시키는 데 기여하였다. 셋째, 책쓰기 프로젝트는 창의적 글쓰기 능력과 자기표현력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이었다(Guthrie & Wigfield, 2000). 또한, 디지털 플랫폼 ‘독서로’를 통해 학생의 독서 이력 데이터를 기반으로 맞춤형 도서 추천이 가능해졌다는 점도 주목된다(Huang et al., 2022).
그러나 몇 가지 문제점도 존재한다. 첫째, 일부 학교는 사서교사나 교육공무직 사서가 배치되지 않아 프로그램 운영의 전문성과 지속성이 부족하다. 둘째, 프로그램의 질과 운영 방식이 학교마다 상이해 교육 격차를 유발하고 있다. 셋째, 디지털 독서자료에 대한 접근성이 학교 간, 학생 간에 차이가 있어 일부 취약계층 학생에게는 독서활동 참여가 제한되는 실정이다(김, 2023).
결론
향후 발전 및 개선 방안
학생 맞춤형 독서활동 프로그램은 학생의 학습 동기와 창의력, 자기주도성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개선이 필요하다. 첫째, 모든 학교에 사서교사 배치를 확대하고 정기적인 연수를 통해 전문성을 강화해야 한다. 둘째, 독서활동 프로그램의 표준화된 운영 가이드라인을 마련하여 학교 간 격차를 해소해야 한다. 셋째, 디지털 독서 자료 접근성을 강화하고 데이터 기반 추천 시스템을 정교화함으로써 더욱 정밀한 맞춤형 독서지도가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개선을 통해 학생 맞춤형 독서활동이 미래 교육의 중요한 축으로 자리 잡을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교육부. (2024). 제4차 학교도서관 진흥 기본계획(2024~2028).
대구광역시교육청. (2025). 2025학년도 학교도서관진흥시행계획.
Guthrie, J. T., & Wigfield, A. (2000). Engagement and motivation in reading. Handbook of Reading Research, 3, 403–422. IF: 5.2 / 인용수: 2,900회.
Huang, Y., Chen, C.-M., & Lee, H.-C. (2022). Personalized book recommendation using reading history in school libraries.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 Society, 25(3), 23-34. IF: 3.1 / 인용수: 150회.
김지현. (2023). 학교도서관의 디지털 자료 접근성 문제 분석. 학교도서관연구, 15(2), 67-89.
'학교 도서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학교 도서관 플라이토 LED 벽시계 구형 리모컨 사용 설명서 (0) | 2025.06.25 |
---|---|
기억을 넘어 실천으로: 학교 현장에서 보훈교육이 중요한 이유 (0) | 2025.06.24 |
학교 도서관과 국가보훈부와 함께하는 호국 보훈 행사 (5) | 2025.06.04 |
목암중학교 중학교 1학년 교과서 목록과 수업 변화 핵심 요약 (3) | 2025.06.01 |
학교 도서관 행사는 '북클립' 만들기로 마무리했어요! (4) | 2025.05.28 |
댓글